# 디스템퍼 바로 알기 |
|
|
|
|
|
|
|
|
|
|
|
|
디스템퍼는 바이러스 자체로는 50~60도 정도에서 30분이면 사멸하는 |
|
다시 설명하면 감염된 개체가 사용하던 캔넬을 떠나기만 하면 바로 없어 |
저 버릴 정도로 약한 바이러스 이기는 하나 개체의 몸속에 들어오면 혈액 |
속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혈증(viremia) 의 기간이 매우 짧고 나머지는 몸의 |
조직이나 CNS로 침투하여 결국에는 신경증상을 잃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|
한다. 이러한 이유 때문에 Ag(항원) 진단법은 교과서에도 혈액,버피코트, |
결막,기관지등에서 Ag를 검사를 해서 나오면 감염이기는 하나 적절한 기술을 |
사용했는가가 관건이며 이말은 아무나 검사를 하면 정확한 검사 결과를 |
|
기대할 수 없다는 얘기이며 만성형 감염에서는 가짜 음성이 나오며 실험실 |
기술에 의해 가짜 양성도 나올 수 있다고 나와 있으며 , PCR 또한 연구단계 |
에서 사용하돼 그것도 가짜양성과 가짜 음성을 주의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|
PCR를 정확히 알고 있는 전문가들은 한결 같이 이렇게 얘기한다. |
|
PCR은 매우 민감한 방법으로 검사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 |
으며 전문가라 할 지라도 같은 시료를 가지고 연속 검사를 할 경우 같은 |
결과를 계속 얻기는 힘들다고 들 얘기한다. |
|
|
|
그리고 어떤 원장이 백신 바이러스는 조직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PCR이나 |
FA이 방법이 정확하고 IgM 방법은 그저 참고 할 정도라고 얘기하는데 그 |
|
주장은 어디에 근거를 두고 얘기하는지 알수가 없다. |
|
|
IgM은 모견에서 자견으로 전달이 되지 않으며 백신을 해도 나오기는 하나 |
같은 스트레인의 백신을 사용할 경우 1차에서만 생성되며 그 지속 기간도 |
짧아 20일이면 소실되어 없어진다. 그러나 야외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면 |
IgM은 48시간이면 생성되기 시작하여 스트레인 별로 35일에서 90일 까지 |
백신과는 차이를 보인다. 그리고 백신해도 IgM이 나오기는 하지만 |
|
처음 부터 높은 역가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높은 역가를 유지하는 |
9일에서 15일 정도의 기간에는 검사를 피하고 그 전이나 그 이후에 검사를 |
하게 되면 백신에 의한 IgM인지 야외 감염에 의한 것인지 감별이 될 수 있다. |
PCR 검사법으로 검사를 하더라도 백신바이러스가 존재하는 시기에는 검사를 |
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. |
|
|
|
|
그리고 홍역과 같이 급성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병들은 진단 결과가 신속 |
하게 나오는 것이 치료반응에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데 |
|
지금까지 대부분의 원장님들은 치료목적이 아니라 나중에 폐사 했을 경우 |
디스템퍼이기 때문에 당연히 폐사했다는 것을 인정받기 위해서나 안락사를 |
권유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. 지금부터라도 우리는 이런 생각을 |
버리고 조기 진단을 해 치료방향을 설정하고 빠른 치료가 들어갈 수 있는 방 |
향으로 나가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1분 1시간이라도 빨리 진단 결과가 |
나와야 하는데 PCR은 이런 조건을 충족시켜주지는 못한다. |
|
|
|
|
|
|
|
|
|
또 하나 원장님들이 고정관념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있는데 |
|
|
그것은 디스템퍼라는 질병은 감염되면 폐사율이 90~95%나 되는 엄청난 질병으로 알고 있으나 실지로는 디스템퍼에 감염된 개체의 50~70%는 |
준임상형(subclinical) 상태로 끝나 버리고 경미하게 감염된 폼은 캔넬코프 |
처럼 보이는 만성형 호흡기 증상 정도로만 보이이는 경우가 대부분을 |
차지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전형적인 증상인 결막염을 보이고 설사를 하고 |
하드패드를 보이고 결국에는 신경 증상을 보이면서 죽는 이런 형태는 위의 |
|
두가지를 제외하면 실지로는 얼마되지 않는다. |
그러나 가볍게 준임상형으로 지나가거나 캔넬코프 처럼 지나가는 |
폼을 무시하고 PCR 음성 나왔다고 가볍게 생각하면 이런 개체가 Carrier로 |
작용해 다른 개체를 감염시킬 수 있어 매우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. |
|
그래서 디스템퍼 진단의 관건은 조기 진단을 하여 빠른 예후 판단과 치료방향이 설정되어 치료에 들어가야 하며 만성형 감염에서도 |
감염이 확인이 되는 방법으로 빠른 시간내에 진단이 되어야 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